삼환계 항우울제(TCA)의 의미
'삼환계 항우울제' 는 항우울제를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 하나이다. 삼환의 환은 고리 환(環) 자로, 3개의 고리가 포함된 원자구조를 가진 항우울제라는 뜻을 담고 있다. 영어로는 TriCyclic Antidepressant를 줄여 TCA라고 부른다. (고리가 네 개면 사환계 항우울제라고 한다.) 대표적인 삼환계 항우울제 약물에는 아미트리프틸린(Amitriptyline),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 이미프라민(Imipramine) 등이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의 원리
일반 항우울제와 같이 감정조절에 기여하는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히스타민(Histamine),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무스카린(Muscarinic) 등 특정 수용체에 대한 차단 효과이다. 아래에서는 그중 특히 히스타민 수용체의 차단이 우울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까닭을 해당 수용체의 특징을 상술함으로써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히스타민]
히스타민(Histamine)은 외부로부터 자극이 들어왔을 때 우리 몸이 그에 따른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유기 물질이다. '염증(=면역 반응)' 의 형태로 발현되는 이상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우리는 경우에 따라 약을 바른다든지, 정밀 검사를 받는다든지 하는 대처를 적시에 할 수 있다. 모기에 물렸을 때 물린 부분이 빨개지고 가려운 것도 히스타민의 영향,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복숭아를 먹었을 때 몸에 두드러기가 돋고 붓는 것도 히스타민의 영향이다.
그러나 물리적인 노티만이 자극이 아니다. 정신적 스트레스 역시 일종의 염증이다. 염증을 감지한 몸은 히스타민 분비를 늘린다. 그러니 스트레스를 받으면 히스타민이 늘어나는 것이다. 히스타민은 기분을 좋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분비를 저해하고, 그렇기에 과한 히스타민은 우울증 촉진의 원인이 된다.
[ 염증(스트레스) 감지 ] → [ 염증을 감지한 몸이 히스타민을 더 많이 분비 ] → [ 늘어난 히스타민이 세로토닌의 분비를 억제 ] → [ 우울증 심화 ]
특징 (부작용)
TCA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한다는 점에서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그 기능이 비슷하지만, H1 히스타민 수용체가 세로토닌 재흡수를 철저하게 차단함으로 인해 극심한 졸음을 수반한다. (그래서 수면제로 사용되기도 하고, 불면증을 동반한 우울증 환자들에게 처방되기도 한다.)
'올리고 싶은 것들을 올립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 강연 기록: Johan Rockstorm - "Let the environment guide our development" (0) | 2023.06.06 |
---|---|
5월은 가정의 달 🌻 가족끼리 보기 좋은 영화 추천 (1) (1) | 2023.05.10 |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보는 글 (2) | 2023.03.12 |
올인원 다기능 플랫폼 슈퍼 앱의 시대 (0) | 2023.03.10 |
Bondee: 아바타 뒤에서 들려주는 나의 이야기 (0) | 2023.03.10 |